목록분류 전체보기 (210)
느림속의 여유 두발로

세월호의 아픔이 아직도2014년 세월호 참사 당시 희생자 주검이 처음 수습됐던 진도 팽목항지금은 진도항으로 개명했다 합니다 숙연한마음으로 그 현장을 돌아봅니다 서해랑길 9.10코스를 종주하면서 ↓ 『 서해랑길 9.10코스』ㅡ 더위여 친구하자 ㅎㅎㅎ ◈언제: 2024/08/ 12(월요일) ◈소재지: 전남 진도군◈코스경로: 귀성삼거리(남도국악원)→남도진성→진도항(팽목항)→가치버스정류장◈거리 : 27.59km◈시간 :(느림 속의 여유시간)◈교통: 자차 들머리에주차 날머리에서 자전거로 자차회수했음◈네비: 시작: 전라남도 진도군 임회면 상만리 1370 (국립남도국악원 앞 공용주착장 화장실부근 종료: 전라남도 진도군 지산면 가치리 526-19 (가치버스정류장 부근)◈누구..

ㅠ ㅠ 이번코스 유일한 바다조망 서해랑길 8코스는 임도길 따라 고개를 오르락내리락역시 지난 7코스처럼 힘든 여정길이다 바다조망은 유일하게 여기뿐지치고 헉헉거리며 언덕을 올라오면 18번 진도대로 강품미재 고개가 나온다 탑공원이라고도 한다 또한 매년 1일에는 해돋이행사를 여기서 한단다탑공원에서 시원한 믹스아이스커피 한잔을 마시면서 조망 삼매경에 빠진다 ↓ 『 서해랑길 8코스』ㅡ 바다조망은 맛배기로 ◈언제: 2024/06/ 26(수요일) ◈소재지: 전남 진도군◈코스경로: 운림산방주차장→삼별초공원→송정지→귀성삼거리◈거리 : 23.89km◈시간 :(느림 속의 여유시간)◈교통: 자차 들머리에 주차 날머리에서 택시콜해 들머리로 이동 회수했음◈네비: 시작: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 110-1 (운림산..

헐~~~~!저위를 올라야 한단다 서해랑 등산길을 오르면서 진도기상대 축구공 모양의 커다란 원형 레이더를 가지고 있는 기상대로2001년에 세워져 호남 지방의 기상을 관측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곳이다.실제로 레이더를 보고 궁금해서 찾아오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하니그것이 표지판 역할을 하는 셈이다.기상대가 자리하고 있는 산이 첨찰산인데 진도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운림산방과 쌍계사를 품고 있는 산이기도 한 곳이다.[네이버 지식백과] 진도기상대 ↓『 서해랑길 7코스』ㅡ 서해랑길에서 제일높은곳 ◈언제: 2024/06/ 13(목요일) ◈소재지: 전남 진도군◈코스경로: 용장성→도평저수지→진도기상대입구→운림산방주차장◈거리 : 8.43km 고군면 오일시 마을에서부터 진행한 거리임◈시간 :(느림 속의 ..

이충무공 벽파진 전첩비2001년 10월 30일 진도군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다.1597년(선조 30) 9월 충무공 이순신(李舜臣 1545~1598)이 거둔 명량대첩(鳴梁大捷) 승첩을 기념하고,해전에서 순절한 진도 출신 참전자들을 기리기 위하여 1956년 11월 29일 건립한 비석이다.비신 높이 3.8m·폭 1.2m·두께 58cm 크기로, 비문(碑文)은 노산 이은상(李殷相 1903~1982)이 짓고,글씨는 진도 출신의 서예가 소전 손재형(孫在馨 1903~1981)이 썼다.벽파진(碧波津)은 명량해협의 길목으로, 진도의 관문 역할을 하였던 나루터를 말한다[네이버 지식백과] 이충무공 벽파진 전첩비 [李忠武公 碧波津 戰捷碑]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서해랑길 6코스』ㅡ28도의 기온에 항복한다 ◈언제: 2..

명량해협(울돌목)한반도 남서쪽 끝자락에 위치하는 좁은 해협으로전라남도 해남군의 화원반도와 진도 사이에 있다.우리나라에서 조류(潮流)가 가장 빠른 곳으로 유명한데지형적으로 폭이 좁은 데다가 수심이 얕아 조류가 이곳을 지나면서 물살이 빨라지기 때문이다.또한 조수간만의 차가 큰 편으로, 밀물과 썰물에 의한 바닷물의 이동이 많은 것도 이곳의 물살이 빠른 요인이 된다.해협 중 폭이 가장 좁은 곳은 약 300m 정도이며유속은 수심 전반에 걸쳐 평균 5.5m/s, 바다 표층은 최대 6.5m/s에 달한다.특히 조차가 가장 큰 사리(대조, 大潮) 때 가장 빠르다.좁은 지형에 대량의 물이 지나면서 소용돌이가 일어나기도 하며,물살로 인한 소리가 매우 큰 것이 특징인데, 예로부터 바위가 우는 것 같다는 의미로 '울돌목'이라 ..

아산호/평택호 [ 牙山湖/平澤湖 ]안성천(安城川) 하구에 있는 인공담수호호수의 명칭을 둘러싼 아산시와 평택시의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본래 호수는 1974년 5월 박정희 대통령이 준공을 기념하는'아산호기념탑'을 세우면서 아산호라 불리게 되었다.그러나 1990년대 한국농어촌공사 평택지사가 호수관리를 담당하면서평택호로도 불리게 되었고, 1994년 5월에는 교통부가 아산호에서평택호로 명칭변경 고시(제1994-25호)를 하기도 했다.이후 아산호와 평택호가 혼용되고 있으며, 명칭에 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아산호/평택호 [牙山湖/平澤湖]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서해랑길 84코스』ㅡ역진행◈언제: 2024/05/ 14(화요일) ◈소재지: 충남 아산시.경기도평택시◈코스경..